본문 바로가기

가족사랑이야기/트렌드&라이프

[재테크 Talk] 2025 트럼프 시대, 기회가 열릴까?

2025년 해외투자의 가장 큰 변수 중 하나가 바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시작입니다. 새로운 정책 기조와 글로벌 경제 흐름이 해외 투자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2024 투자 키워드는 투자이민

2024년에는 투자 이민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2024년 코스피 지수의 수익률이 -9.6%(코스닥 -21.7%)에 머무는 동안 미국 S&P500 지수는 23.8%(나스닥 +29.8%)나 상승했습니다.

여기에 더해 달러도 올라 환차익이 1년 동안 +12.5%로 환산됩니다.

주가지수로만 보면, 국내 주식 투자 대비 미국으로 대변되는 해외 투자가 최대 +64%p 만큼의 초과 수익을 거둔 셈입니다.

 

유난히 국내 악재가 많았던 걸 감안해 보더라도 해외 투자, 이른 바 투자 이민의 수요가 강했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2025, 성장이 있는 곳에 수익이 있다

 

2025년은 어떨까요? 일단 구조적 흐름은 거스를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성장이 있는 곳에 수익이 있다는 명제 때문입니다. 게다가 20251월부터 시작될 트럼프 2기 집권은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해외투자에서의 기대효과를 높이고 있습니다.

 

특별한 게 있어서가 아닙니다. ① 달러 강세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보여 환차익>환차손의 구도가 유지될 것입니다. 그리고 트럼프의 공약 이행률이 높고 이행 속도도 빠를 것이라는 학습효과 때문입니다.

 

 

달러화 강세는 계속될까?

 

먼저 달러화에 대해 생각해 보겠습니다. 어떤 가격이든 사자팔자보다 많을 때 오릅니다. 대체재가 없을 때도 오릅니다. 트럼프와 미국 경제의 조합은 달러화에 대한 수요를 높일 것 같습니다. 두 축은 직접 투자와 포트폴리오 투자입니다. 미국에 공장을 짓지 않으면 산업 내 밸류체인에서 벌칙을 부과한다고 합니다. 글로벌 직접 투자에서 미국향이 늘어날 거라 보는 이유입니다.

 

AI 하드웨어(반도체)에서 소프트웨어(서비스)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규모의 경제가 작동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포트폴리오 투자에서 미국향의 힘이 유지될 거라 보는 이유입니다. , 달러화를 보유했을 때 얻는 효용이 그렇지 않을 경우에 비해 더 클 것이라 예상됩니다.

 

 

트럼프는 공약을 잘 지킨다

 

다음 트럼프의 공약 이행과 관한 것입니다.

 

우리는 보편적 관세 부과, ② 대내적 세금 감면, ③ 기후 규제 완화, ④ 미국 내 직접 투자 유치 등을 트럼프 1기 때 경험한 바 있습니다. 다른 나라들은 불편할 수밖에 없지만 미국 경제가 성장하는 데는 더없이 좋은 재료들입니다. 트럼프 정부는 이번에도 이것들을 강력히 추진한다고 예고하고 있으니 그 예상 효과는 투자자들의 몫입니다.

 

여기에 더해 -우 전쟁을 종식시키고, ⑥ AI 환경을 보다 강화시킬 것이 자명합니다. 자국의 경제 성장에 우호적인 정책과 기업들의 EPS(주당이익)를 높이는 요인들, AI와 재건에 관한 개별적인 테마들은 주식 투자자들에게 좋습니다.

 

 

지금 미국 주가가 너무 비싼 건 아닐까?

 

우려가 없는 것은 아닙니다. 미국의 주가가 너무 비쌉니다, 기대했던 금리 인하가 지연되고 있습니다, 역대급 부채 위험을 감내 가능한 것인가 등 비관론도 적지 않습니다.

 

하지만 금융투자에 100%는 없습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변화무쌍한 투자 환경에 관심을 갖는 일뿐입니다.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아무 일도 벌어지지 않습니다. 달리 말하면 아무것도 얻을 것이 없다는 말이기도 합니다.